본문 바로가기
시네마토그래피

Sony a7S III 펌웨어 4.0 업데이트: 주요 기능 변화 및 비교 분석

by moodong 2025. 4. 24.
반응형

개요 및 업데이트 배경

소니 **Alpha 7S III (ILCE-7SM3)**의 펌웨어 버전 4.0은 기존 3.x 버전까지의 펌웨어에 비해 다양한 신규 기능 추가와 개선을 제공하는 대규모 업데이트입니다. 특히 영상 제작자를 염두에 둔 기능 강화가 두드러지며, 몇몇 기존 기능의 제거/변경도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아래에서는 펌웨어 4.0에 포함된 모든 주요 업데이트 내용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이전 펌웨어 대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영상 크리에이터들이 주목할 클립 리뷰, 로그 촬영 모드(LUT 지원), 포커스 맵, 스트리밍 등의 기능을 강조하고, Cine EI 모드(시네마틱 노출 지수 모드) 미지원에 대한 대안도 함께 제시합니다.

신규 추가된 기능 (펌웨어 4.0에서 새롭게 도입)

• 로그 촬영 모드 및 LUT 모니터링: 새로운 Log 촬영 모드에서는 촬영 시 카메라 모니터에 사용자가 원하는 **룩업테이블(LUT)**을 적용하여 영상을 미리보기 할 수 있습니다 . 이는 S-Log3 감마로 촬영하면서도 색보정 후 결과물을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기존에는 외장 모니터나 후반작업에 의존해야 했던 LUT 프리뷰를 카메라 내장 LCD에서 구현한 것입니다 . (※ 참고: 이 기능 추가를 위해 기존 Picture Profile의 S-Log2 감마 설정은 제거되었으며, 이제 로그 촬영은 S-Log3로만 가능합니다 .)

• 포커스 맵(Focus Map): 포커스 맵은 피사계 심도 영역을 색 영역으로 표시하여, 현재 초점이 맞는 부분과 전후 면의 초점 벗어난 영역을 한눈에 보여주는 신규 초점 보조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원래 소니 a7 IV, a7R V, FX30 등 최신 모델에만 있었고 a7S III에서는 지원되지 않았던 것인데 , 펌웨어 4.0에서 드디어 a7S III에도 추가되었습니다. 포커스 풀링이나 수동 초점 사용 시 화면 어디에 초점이 맞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영상 촬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
• 클립 리뷰(Clip Review): 촬영한 마지막 동영상 클립을 즉시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클립 리뷰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별도의 메뉴 탐색 없이도 방금 촬영한 장면을 빠르게 검토할 수 있어 현장에서 테이크 확인 작업이 효율적으로 바뀝니다 . (이 기능은 카메라에서 재생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용 Monitor & Control 앱 연동 시 원격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

• 클립 플래그 지정 (OK/NG/Keep 태깅): 이제 영상 촬영 도중 또는 촬영 직후 클립에 OK/NG/KEEP 등의 플래그를 부여하여 태깅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여러 테이크를 촬영할 때 성공 샷(OK), 실패 샷(NG), 우수 샷(Keep) 등을 카메라에서 바로 표시해둘 수 있어, 후반 작업이나 리뷰 시에 원하는 클립을 쉽게 선별할 수 있습니다. 이 메타데이터는 소니 Catalyst Browse/Prepare 등에서 활용되므로 워크플로우를 단축시킵니다 .

• 샷 마크(Shot Mark) 및 자동 이미지 생성: 촬영 중 중요 순간에 Shot Mark를 표시할 수 있는데, 펌웨어 4.0에서는 녹화 종료 후 **Shot Mark가 표시된 프레임을 자동으로 정지 이미지(JPEG)**로 생성해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이를 통해 영상의 특정 하이라이트 장면을 바로 사진으로 추출하여 썸네일이나 스토리보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Shot Mark는 촬영 중이나 재생 시 임의 프레임에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지점을 편집 및 전송 시 마커로 활용 가능합니다 .)

• 라이브 스트리밍 지원: 새로운 네트워크 스트리밍 기능으로 카메라 영상을 인터넷으로 실시간 스트리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사전에 스마트폰용 Creators’ App에서 스트리밍 설정을 해두어야 하며, 이후 카메라가 Wi-Fi 등을 통해 직접 RTMP 서버(예: YouTube 라이브 등)에 방송을 송출하는 방식입니다 . 기존에는 a7S III로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려면 PC에 USB 연결(UVC 웹캠 기능) 또는 HDMI 캡처장치가 필요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 연결만으로도 단독 스트리밍이 가능해진 셈입니다.
※참고: 이 네트워크 스트리밍은 a7 IV에서는 카메라 단독으로도 지원되지만 a7S III에서는 스마트폰 앱 연동을 통해서만 동작합니다 .
• 기타 추가 기능:
• 디지털 인증 서명 기능: Sony 카메라 인증 솔루션의 일환으로, 촬영한 정지영상에 디지털 서명을 첨부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 (이 기능은 이미지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용도로, 사용을 위해 별도 유료 라이선스 설치가 필요하며 현재는 제한된 일부 매체에만 베타 제공됩니다.)

• 황금비율 그리드: 구도 안내선(Grid Line)에 기존의 삼분할선 등과 더불어 황금비율 가이드선 옵션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 사진과 영상 구성 시 더욱 다양한 구도 비율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연속 초점 브래키팅: 사진 촬영 기능으로, 포커스 브래키팅(Focus Bracket) 모드가 도입되었습니다 . 지정한 간격과 장면 수만큼 자동으로 초점을 이동시키며 연속 촬영하여, 이후 포커스 스태킹 합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로 접사 촬영 등에서 피사계심도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 타임코드 입력 지원: 이전 3.x 펌웨어에서 이미 추가된 기능이지만 중요하므로 언급하면, 멀티/마이크로 USB 단자를 통한 외부 타임코드 입력이 지원됩니다 . 별매 어댑터 케이블을 사용하여 다른 장비의 타임코드와 동기화할 수 있어 멀티캠 촬영 시 후반 싱크 작업이 용이합니다.

개선된 기능 및 성능 향상
• AF/MF 보조 및 화면 표시 개선:
• MF 중 자동확대 지원: 밝기 모니터링(Bright Monitoring) 기능 사용 중에도 **MF 초점 확대(Focus Magnifier)**를 사용할 수 있게 개선되었습니다 . 어두운 환경에서 Bright Monitoring으로 피사체를 밝게 보며 동시에 초점을 확대해 정밀 초점 조정이 가능해져, 야간 촬영이나 천체 촬영에서 유용합니다.

• 조리개 조작 막대(IRIS bar) 표시: 동영상 촬영 시 조리개 값을 화면 상에서 막대 그래프로 표시해주는 IRIS 조작 바 디스플레이가 추가되었습니다 . 이는 조리개 변화량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게 하여 노출 변경을 직관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Monitor & Control 모바일 앱 사용 시에도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조리개 조절이 가능합니다.)

• 터치 조작 메뉴 및 UI: (※비공식) 이전 펌웨어 3.00에서 동영상 전용 촬영 화면 레이아웃과 스와이프 Quick 메뉴가 개선된 바 있습니다 . 이는 소니 ZV-E10 등의 UI를 참고한 변경으로, 촬영 화면에서 ISO, 조리개, WB 등을 터치로 바로 변경할 수 있고, 화면 스와이프 제스처로 퀵 설정 메뉴를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이러한 UI 개선으로 펌웨어 3.x부터 a7S III의 조작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노출 및 촬영 설정 개선:
• 노출 브래키팅 확장: 자동 노출 브래키팅(AEB) 촬영 시 설정할 수 있는 노출 단계 및 장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 사용자가 원하는 노출 보정 단계 간격과 촬영 장수를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HDR 합성이나 노출 선택폭이 넓어졌습니다.

• 폴더 당 저장 장수 증가: 한 폴더에 저장 가능한 최대 이미지/클립 수가 기존 4,000장에서 9,999장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 장시간 촬영 시 파일이 여러 폴더로 나뉘는 불편이 줄어들었습니다.
• 사용자 지정 키 확장: 재생 모드에서 기존에 고정 기능이었던 AEL 버튼과 삭제(휴지통) 버튼도 사용자 지정 키로 할당 가능해졌습니다 . 이를 통해 재생 중에도 자주 쓰는 기능(예: 별점 평점, 전달 등)을 해당 버튼에 매핑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메뉴 진입 시 셔터막 닫힘: 이전 3.x 업데이트에서 전원 OFF 시 셔터막 닫기 옵션이 추가되어, 렌즈 교환 시 센서 노출을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를 통해 센서 먼지 유입 방지가 개선되었습니다 (a7S III 초기 출시에 없던 기능).

• AF 및 안정성 개선:
• AF Assist (수동 조작 보조 AF): 펌웨어 3.x에서 추가된 기능으로, 동영상 AF 사용 중 포커스 링을 돌리면 일시적으로 MF로 전환되어 수동 조작을 돕고, 멈추면 다시 AF가 지속되는 AF Assist 기능이 지원됩니다 . 이로써 수동 초점 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부드럽게 AF-MF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버그 수정 및 안정화: 펌웨어 4.0에서는 S-Cinetone 픽쳐 프로파일 사용 시 디테일(Detail) 설정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고, 전반적인 카메라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었습니다 . 그 외 네트워크 연결 불안정 이슈 등의 자잘한 문제들도 이전 업데이트에서 개선되었습니다 .

제거되거나 변경된 기능 (이전 대비)
• S-Log2 감마 지원 제거: 앞서 언급한 대로, Log 촬영 모드 도입에 따라 Picture Profile의 S-Log2 감마 옵션이 삭제되었습니다 . 기존에 S-Log2로 촬영하던 사용자는 이제 S-Log3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소니가 새로운 로그 운영 방식을 표준화한 데 따른 것입니다. S-Log3는 S-Log2 대비 더 넓은 다이내믹레인지를 지원하므로 결과적으로 화질 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기존 S-Log2 LUT를 사용하던 워크플로우는 업데이트 이후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 구 보안 프로토콜 지원 중단: IPsec 보안 기능이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메뉴 옵션 제거) , 무선 LAN 암호화 방식 중 **WEP 및 WPA(1)**도 지원 종료되었습니다 . 대신 WPA2/WPA3 방식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이 변경으로 구형 네트워크 환경과의 연결 호환성은 낮아질 수 있으나, 최신 보안 표준 준수를 위한 조치입니다.
• 기존 모바일 앱 교체: 소니의 모바일 앱이 기존 Imaging Edge Mobile에서 Creators’ App으로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펌웨어는 Creators’ App 연동만을 지원합니다 . (이전 앱으로는 연결이 불가하며, 기능적으로 Creators’ App이 이미지 전송, 원격 촬영 등 역할을 대체합니다.)
• 기타 미지원 항목: 그 외에도 소니가 상위 제품군과 구분하기 위해 a7S III에 제공하지 않는 일부 기능들은 펌웨어 4.0에서도 여전히 미지원입니다. 예를 들어 동영상 모드의 동물 Eye AF는 메뉴에 표시만 될 뿐 실제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으며 , 녹화 중 LUT 적용 출력 등 시네마 카메라급 기능 일부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보안 및 워크플로우 관련 업데이트
• 콘텐츠 진위 인증 (Content Authenticity): a7S III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C2PA 규격을 준수하는 이미지 신뢰도 솔루션을 지원합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디지털 서명 라이선스 기능으로 구현되며, 사진 촬영시 이미지에 서명된 메타데이터를 남겨 편집 이력과 진위 여부를 추적할 수 있게 합니다 . 언론 등 분야에서 요구되는 보안 기능으로, 카메라에서 사진이 조작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용도로 활용됩니다.
• FTP/전송 워크플로우 개선: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기능도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FTP 예약 전송 기능이 추가되어 촬영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록되는 동시에 백그라운드로 업로드를 예약할 수 있고 , 촬영을 계속 진행하면서도 스마트폰/태블릿으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또한 전송 중 중단되더라도 **이어받기(resume)**가 지원되며 , 이미 전송된 파일을 건너뛰고 미전송분만 선택적 전송하거나 전송 대기 중 새로운 파일을 추가 지정하는 등의 차등 전송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이로써 촬영 현장에서 원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 서버나 모바일 기기로 보내는 뉴스/스포츠 촬영 워크플로우가 한층 원활해졌습니다.
• 모바일 앱 모니터 & 원격제어: 펌웨어 4.0과 함께 소니 Monitor & Control 앱(모바일용 모니터링 앱) v2.3.0 이상과 연동할 경우, 카메라 라이브뷰를 보면서 원격으로 새로운 기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스마트폰/태블릿을 외부 모니터처럼 활용하여 포커스 맵 디스플레이, 클립 리뷰 재생, 가상 조리개 링 표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모바일 통합은 촬영자의 모니터링 유연성을 높이고, 혼자 촬영하는 1인 크리에이터나 소규모 팀에서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알림: 카메라 내에서 최신 펌웨어가 있을 경우 이를 알림 표시해주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사용자가 일일이 웹사이트를 확인하지 않아도 업데이트 유무를 즉각 파악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졌습니다.

Cine EI 모드 미포함 및 대안 설명

소니 Cine EI(시네마틱 노출 지수) 모드는 FX3, FX6 등 시네마 라인 카메라에 제공되는 전문 영상 촬영 기능으로, 듀얼 베이스 ISO를 활용한 일정한 감마 관리와 LUT 워크플로우를 특징으로 합니다 . 많은 사용자들이 a7S III에도 이 Cine EI 모드가 추가되길 기대했으나, 펌웨어 4.0에서도 Cine EI 모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소니는 제품 라인업 간 포지셔닝 차별화를 위해 a7S III (알파 라인)을 FX3 등과 구분하고자 이러한 고급 시네마 기능을 여전히 제한한 것으로 보입니다  .

그러나 펌웨어 4.0에서 추가된 로그 촬영 모드 및 LUT 지원으로 Cine EI에 일부 근접한 워크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비록 베이스 ISO 고정 Cine EI/Q 모드 자체는 없지만, 사용자가 S-Log3로 촬영하면서 듀얼 베이스 ISO 개념을 수동으로 활용하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a7S III의 S-Log3 기준 감도는 ISO 640이며, 저조도에서 노이즈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두 번째 기반 감도는 ISO 12,800입니다 . 실제로 ISO 640을 기준 노출로 운용하다가 아주 어두운 장면에서는 ISO를 12,800으로 올리면 노이즈가 크게 감소하는 하이센시티브 모드가 동작하므로 , 이는 Cine EI 모드에서 듀얼 베이스를 스위칭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 권장 대안: 일반 촬영 시 가능하면 ISO 640 근처의 기본 감도를 유지하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ISO 12,800으로 상승시켜 촬영한 뒤 로그를 유지한 채 LUT을 적용하여 미리보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Cine EI처럼 촬영 시에는 LUT 적용된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면서도 파일에는 순수 S-Log3가 기록되므로 후반 색보정 관용도는 그대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노출을 잡을 때 기본 감도에서 ±스톱 단위로 오버/언더하여 촬영하고 나중에 보정하는 방식도 Cine EI의 EI 값 조절과 유사한 결과를 줍니다 .

요약하면, a7S III는 Cine EI 전용 모드 부재에도 불구하고:
• Log 촬영 + LUT 미리보기 기능으로 현장 색감 프리뷰 가능
• **수동 듀얼 ISO 활용(640 또는 12,800)**으로 노출 및 노이즈 최적화 가능
• 후반 LUT 적용을 통한 시네마틱 컬러그레이딩 지원

등을 통해 사실상의 Cine EI 운용을 수동으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완전한 Cine EI 인터페이스와 자동화(예: Cine EI Quick 모드의 자동 듀얼 ISO 전환 등)는 없으므로, 이러한 대안은 사용자 이해와 노하우를 전제로 합니다. 만약 Cine EI 모드가 필수적인 작업 환경이라면, Sony FX3와 같은 시네마 라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주요 기능 비교 요약 (기존 펌웨어 vs. 4.0)

펌웨어 4.0에서 변경된 핵심 사항들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능/변경 사항 기존 펌웨어 (3.x 이하) 펌웨어 4.0 (업데이트 후)
Log 촬영 모드 & LUT 모니터링 미지원 – S-Log2/3로 촬영, LUT 미리보기 불가 신규 추가 – S-Log3 전용 로그모드, LUT 적용 모니터링 지원  (사용자 LUT 사용 가능)
사용자 LUT 관리 미지원 (내장 PP LUTのみ) 신규 추가 – .cube LUT 파일 임포트 및 적용 가능 (모니터용) 
Cine EI 모드 미지원 미지원 (여전히 포함되지 않음)
S-Log2 감마 지원 (PP에서 선택 가능) 제거됨 – S-Log3만 제공 
포커스 맵 (Focus Map) 미지원  신규 추가 – 초점 영역 색 표시 초점도움 기능 제공 
포커스 브리싱 보정 지원 (펌웨어 3.00에서 추가됨)  지원 지속 – (업데이트 포함 유지)
AF Assist (동영상 수동 초점 보조) 지원 (펌웨어 3.x에서 추가) 지원 지속 – (업데이트 포함 유지)
클립 리뷰 (즉시 재생) 미지원 신규 추가 – 방금 촬영한 클립을 바로 재생 확인 
클립 OK/NG/Keep 태깅 미지원 신규 추가 – 촬영 도중 클립에 플래그 지정 
Shot Mark 프레임 이미지 미지원 신규 추가 – 샷마크 지점 자동 사진 저장 
DCI 4K (4096\u00d72160) 24p 지원 (펌웨어 3.00에서 추가, 라이선스 필요)  지원 지속 – (업데이트 포함 유지, 라이선스 동일)
USB 스트리밍(UVC) 지원 (기본 UVC 웹캠 가능) 또는 제한적 지원 지속 – (변경 사항 없음)
네트워크 스트리밍 (무선 라이브) 미지원 신규 추가 – 스마트폰 연동 라이브 방송 기능 
타임코드 동기화 입력 지원 (펌웨어 2.x~3.x 추가)  지원 지속 – (업데이트 포함 유지)
디지털 인증 서명 미지원 신규 추가 – 정밀 사진용 진위확인 서명 지원  (별도 라이선스)
FTP 백그라운드 전송 미지원 (촬영 중 전송 제약) 신규 추가 – 촬영과 동시 FTP 업로드 예약 가능 
전송 중 촬영 지속 미지원 (전송 중 촬영 중단) 신규 추가 – 전송 진행하면서 촬영 지속 가능 
전송 이어받기/차등전송 미지원 신규 추가 – 끊긴 전송 재개 및 미전송분만 추가 전송 
모니터 & Control 앱 연동 지원 (3.x에서 도입) 확장 – 포커스맵, 클립리뷰 등 앱에서 제어 지원 
펌웨어 업데이트 알림 미지원 신규 추가 – 카메라 내 최신 버전 알림 표시 
WEP/WPA (Wi-Fi 보안) 지원 지원 종료 – WEP/WPA 삭제, WPA2/3만 지원 
IPsec 보안통신 지원 지원 종료 – IPsec 기능 사용 불가 
기타 안정성/버그 일부 환경 이슈 존재 개선 – S-Cinetone 디테일 버그 수정 등 안정화 

각 기능의 출시 당시 버전과 펌웨어 4.0 적용 후 상태를 비교하면 위 표와 같습니다. 특히 신규 추가된 부분은 4.0에서 처음 도입된 기능들이며, 지원 지속은 이전 버전에서 이미 있었고 4.0에도 그대로 포함된 것들입니다. 지원 종료/제거된 항목은 업데이트로 사라지거나 비활성화된 기능을 의미합니다.

결론 및 활용 팁

소니 a7S III의 펌웨어 4.0 업데이트는 영상 제작을 위한 도구로서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린 업그레이드로 평가됩니다. 로그 촬영 시 LUT 미리보기, 포커스 맵 초점 지원, 즉각적인 클립 리뷰 및 태깅 등은 현장에서 촬영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과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과거에는 외부 모니터나 추가 장비, 번거로운 메뉴 조작으로 구현해야 했던 것들이 이제 카메라 본체만으로 해결됨을 의미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기능 강화로 1인 크리에이터의 실시간 스트리밍이나 현장 데이터 백업이 수월해졌고, 고급 사용자들을 위한 콘텐츠 인증 보안까지 갖추며 활용 범위를 넓혔습니다. 비록 Cine EI 모드같은 일부 시네마 라인 전용 기능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앞서 제시한 대안처럼 a7S III 고유의 로그 촬영 기능을 잘 활용하면 충분히 뛰어난 영상 퀄리티와 작업 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팁: 업데이트 후에는 Picture Profile 설정을 재확인하세요. S-Log2가 사라졌으므로 모든 로그 프로필을 S-Log3 기반으로 조정해야 하고, 새로 추가된 사용자 LUT 등록 메뉴를 활용해 자주 쓰는 LUT를 카메라에 넣어두면 촬영 현장에서 색보정된 영상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포커스 맵은 메뉴에서 켜야 보이므로, 사용자 버튼에 할당해두면 필요할 때 빠르게 토글하면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펌웨어 4.0은 a7S III를 동영상 특화 카메라로서 한층 업그레이드하였으므로, 해당 기능들을 잘 숙지하고 활용하면 현장 촬영부터 후반 작업까지의 워크플로우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소니 공식 펌웨어 업데이트 발표 및 전문 리뷰 매체의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작성 (Sony 공식 웹사이트  , CineD 전문지  등).

반응형